A critical analysis on five Korean art educators’ perceptions of pedagogic values of ‘Traditional’ painting | Intellect Skip to content
1981
Volume 11, Issue 1
  • ISSN: 1743-5234
  • E-ISSN: 2040-090X

Abstract

Abstract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ses the views of five Korean art educators on traditional art practice that assume the enduring value of a particular styl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he outcome of the data analysis shows how a particular style of Korean painting is recognized by them as ‘traditional’, while other styles such as folk painting are rejected as non-valuable from a complex historical legacy of art practice. This shows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the educational discourses and practices of tradition that are retained through an idealized memory historically rooted as part of structurally generated class ‘cultures’, as central to the constitution of social solidarity and to the creation of a collective identity, and have constantly reproduced a particular culture.

이 글은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전통회화를 가르치고 있거나 미술교육 연구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다섯 명의 한국 미술교육자들의 전통미술에 대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들과의 인터뷰 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회화에서 수묵화와 같은 특정 스타일은 ‘전통적’으로 간주되어왔던 반면, 민화와 같은 다른 스타일들은 전통적으로 간주되지 않았던 시대적 역사적 맥락을 들여다봄으로써, 특정 스타일의 한국 회화에 ‘전통’이라는 변치 않은 가치를 두고 이루어지는 교육적인 담론과 실천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제공한다. 한 사회의 특정 계층의 ‘문화’로 구조화된 전통에 대한 인식은 그들이 속한 사회의 연대감 구성과 집합적 정체성을 중시하고자 그 집단의 과거에 대해 이상화된 기억들을 통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런 전통회화 대한 인식들로 이루어지는 교육적 담론과 실천들은 지속적으로 특정 문화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비판한다.

Loading

Article metrics loading...

/content/journals/10.1386/eta.11.1.75_1
2015-03-01
2024-04-28
Loading full text...

Full text loading...

http://instance.metastore.ingenta.com/content/journals/10.1386/eta.11.1.75_1
Loading
This is a required field
Please enter a valid email address
Approval was a success
Invalid data
An error occurred
Approval was partially successful, following selected items could not be processed due to error